반응형 OS/Linux Basic Command7 Linux - cp 명령 1. 리눅스 cp 명령어 - cp의 뜻은 copy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 1.1 사용 cp [옵션][복사 할 디렉토리/파일][복사 될 디렉토리/파일] a.txt파일을 b.txt 라는 이름 복사 ex) cp a.txt b.txt /home/user01 경로의 a.txt 파일을 /home/user02/a.txt 로복사 ex) cp /home/user01/a.txt /home/user02/a 1.2 주요 옵션 -i : 복사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, 사용자에게 덮어 쓰기 여부를 묻습니다. -b : 복사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, 백업파일을 생성합니다. -f : 복사 될 파일이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, 강제로 덮어쓰기 합니다. -r : 하위 디렉토리 까.. 2023. 6. 27. Linux - mkdr 명령어 1. 리눅스 mkdir 명령어 - mkdir은 Make Directory의 줄임말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때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이다. 1.1 사용법 # mkdir 디렉토리명 현재디렉토리 위치에서 하위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 # mkdir 디렉토리명1 디렉토리명2 현재디렉토리 위치에서 하위 디렉토리1, 하위 디렉토리 2 처럼 복수의 디렉토리도 생성 할 수 있다. # mkdir 절대경로 상대경로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. 1.2 주요 옵션 mkdir -m 옵션 : 디렉토리의 퍼미션 설정 mkdir -m 655 디렉토리명 mkdir -p 옵션 : 여러 덱스의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생성 mkdir -p /data01/data11/data21/ /data01 /data01/data11.. 2023. 6. 26. Linux - find 명령어 1. 리눅스 find 명령어 - 조건에 만족하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검색하는 명령어이다. -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며 name, type, atime, mtiem, ctime 등을 이용하여 백업된 파일삭제 파일 위치 찾기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. - 명령어를 직접 사용되는 경우도 많으나 스크립트로 많이 사용된다. - 주의) exec를 사용하기 위해선 조회부터 하고 원하는 조회가 되었을 때 명령어를 이용하여 실행하도록 한다. - option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. 1.1 사용방법 # find [options] [path] # find [options] [path] [Actions expression] 예시) # find /data01 -name *.txt -type f -mindept.. 2023. 6. 23. Linux - touch 명령어 1. 리눅스 touch 명령어 일반적으로 리눅스의 touch 명렁어는 빈 파일을 작성하거나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변경하는 용도로 사용한다. 1.1 빈 파일 생 # touch 파일명 (해당 파일이 없는경우) # touch a.txt a.txt 파일이 없다면 0바이트의 a.txt 라는파일을 생성 1.2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변경 # touch -옵션 파일명 -a : 현 시간으로 파일의 접근 시간, 수정 시간을 수정한다. -c : 기존 파일이 없으면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. -d : 지정한 시간으로 접근 시간, 수정 시간이 수정되고, 변경시간은 현재 시간으로 수정된다. -m : 현 시간으로 파일의 수정 시간, 변경 시간을 수정한다. -r : 지정한 파일의 접근 시간, 수정 시간으로 파일이 수정되고 변경 시간은 현.. 2023. 6. 23. Linux - cd 명령어 옵션 / 절대경로, 상대경로 1. 리눅스 cd 명령어 - cd의 뜻은 Change directory의 줄임말로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위치를 이동하는 명령어이다. - 절대경로 또는 상대경로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된다. 1.1 사용 방법 # cd .. :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예를 들어 현재 위치가 /etc/sysconfig라면 /etc로 이동된다. # cd . : 현재 위치한 폴더로 이동합니다. # cd - : 직전에 위치하던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# cd / : /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# cd ~ :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User별 홈디렉토리는 변경이 가능하며, useradd를 하며 별도 지정을 하거나 /etc/passwd 파일을 변경하는 등의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다. 1.2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O.. 2023. 6. 22. Linux - pwd 명령어 옵션 1. 리눅스 pwd 명령어 - pwd의 뜻은 "print working directory" 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. - pwd 라는 명령어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, 쉘 스크립트나 프로그램 개발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. 1.1 사용 방법 # pwd - 현재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확인할 수 있다. # pwd -옵션 # pwd -L # pwd -P 2. pwd 명령어의 모든 옵션 옵션이 있지만 많 사용되지 않는다. -L, --logical : 심볼릭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PWD 환경 변수를 사용한다. -P, --physical : 심볼릭 정보를 무시하고 실제의 경로 정보를 출력한다. 2023. 6. 21. 이전 1 2 다음 반응형